진도를 신재생에너지 거점으로 육성

 P2210228

박준영 전남도지사가 6일 진도군을 찾아 도정 주요 현안 사업장을 방문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정책대안이나 애로사항 등의 의견을 도정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마지막 1년 임기 동안 추진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지사는 이날 진도군청에서 가진 도민과의 대화에서 “급류지역이 많은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춘 진도가 조류발전을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거점이 될 수 있다”며 “진도를 신재생에너지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진도는 국토의 최 서남단에 위치해 대륙과 해양을 잇는 해양물류, 관광의 교두보일 뿐더러 256개의 섬과 리아스식 해안 등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인구가 줄어드는 등 현재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진도항 배후지 개발사업 등 추진 중인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진도는 분명 전남 발전을 이끄는 지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전남도는 6일 오전 11시 도청 서재필실에서 박준영 도지사와 이동진 진도군수, 주동식 목포부시장, 신명수 보성부군수, 배택휴 해남부군수, 박기열 장성부군수,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레네테크 등 6개 기업과 1천14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투자로 885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투자협약에 따라 ㈜레네테크는 진도항 배후단지 16만 5천㎡에 950억 원을 투자해 조류발전 지원단지(조류발전터빈 제조 및 지지구조물 생산공장)를 건립한다.

조류발전 지원단지는 ㈜레네테크의 독일 합작기업인 VHT사가 조류발전 터빈을 생산하고 레네테크가 조류발전 지지구조물을 제작한다. 앞으로 건립계획인 1단계 장죽수도 200MW와, 2단계 추진 예정인 맹골수도 450MW 조류발전소 건설에 들어가는 조류발전터빈과 지지구조물 등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진도항배후지개발사업이  “2015년 사업이 완료되면 물류 수송기능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등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사업인 만큼 4351억원에 달하는 민자유치를 조기 실현하겠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한편, 이날 진도군은 진도개 테마파크 사업 지원, 재해위험 접도 연도교 개축, 진도읍 경관 디자인 거리 조성사업 등을 전남도에 건의했다.

가사도, 혈도에 신재생에너지 자립섬

20130306007hybridsys

전남도, 조도면 가사도, 혈도에 신재생에너지 자립섬 추진

전라남도는 진도군 조도면내 가사도와 혈도에 태양광․풍력을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는 에너지 자립섬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원(태양광․풍력)을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소규모 지능형전력망) 기술이 적용된다.

진도군 조도면 혈도는 10가구가 사는 작은 섬으로 그동안 전기 사용에 불편을 겪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2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60㎾ 용량의 태양광과 6㎾의 풍력발전을 주 전원으로 한 독립형 전력 공급체계를 구축하게 된 것이다.

사업비는 정부가 75%, 진도군이 25%를 부담하고 한전이 사업을 총괄해 연내 완료 할 예정이다.

또한, 국책 실증연구 과제로 추진되는 가사도에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복합 발전시스템이 구축된다.

지식경제부의 ‘신재생에너지 기반 융․복합 에너지시스템 및 계통연계 기술개발 연구과제’로 약 100억 원(국비 48․도비 11․한전 등 41)을 투입해 2015년 8월까지 진행한다.

가사도는 165가구가 살고 있는 비교적 큰 규모의 섬으로 이런 곳에 대한 에너지 자립섬 상용화 기술이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전이 연구해온 기술을 기반으로 200㎾의 태양광, 250㎾의 풍력발전 및 2㎿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융합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해 실증사업을 펼치게 된 것이다.

‘마이크로그리드’는 국내 도서지역을 포함해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오지나 벽지에 적합한 기술로 이번 실증사업은 우리나라의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표준 모델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한전은 가사도에서 이 모델이 성공하는 대로 이를 상품화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해남-제주간 쾌속카페리선 3월29일 취항

20130305007royalstar

해남-제주간 쾌속카페리선 3월29일 취항

씨월드고속훼리㈜ (모바일웹 http://m.seaferry.co.kr )는 유럽형 프리미엄급 초고속 로얄 스타호가 3월29일부터 매일 오후2시40분 해남군 우수영항과 오전9시 제주항에서 출발 운항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씨월드고속은 ‘로얄스타’ 취항을 기념해 3월29일부터 4월30일까지 이용객 4명당(가족,친구) 차량요금 1대 할인 및 고속도로 통행료·시외버스비 지원 등의 이벤트를 실시한다.

당초 운항 계획은 진도대교를 밑을 통과해 1시간30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진도대교의 높이가 20m에 불과해 안전을 고려, 우회 항로를 선택하면서 소요시간이 길어졌다.

로얄스타호는 선박 전장 84m,  선폭14m, 속력36노트, 3,046톤 규모로 여객정원 588명, 차량76대를 싣고 해남과 제주 간을 2시간30분에 돌파 할 수 있다.

한편, 해남군은 예산 99억3천만원을 투입하여 우수영항 쾌속카페리선 접안시설을 2013년초에 완공했다.

동북아 중심항으로 진도항이 뜬다.

20130304008jindoharber

동북아 중심항으로 진도항이 뜬다.

진도 팽목항이 전남 서부권 중심 연안항(1998년2월24일)에서 동북아 해양 거점항(2013년2월15일)으로 도약하기 위해 진도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전라남도 남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선도사업으로 선정된 팽목항을 상징성이 높은 “진도”라는 명칭을 부여하므로서 동북아 해상교통 중심지로 기대된다.

한편, 진도항 일대에 수산 가공과 유통·해양관광 등 복합해양도시를 건설하는 항만배후지 조성사업이 오는 2천15년까지 350억원이 투입되어 추진된다.

버드아일랜드 특산품 판매

jnopenmarket20130304

전남오픈마켓 선정 우수제품으로 판매되었으며버드아일랜드 태양상회에서 취급하는 조도산 수산물 뜸부기, 톳, 돌미역, 돌김등 꾸준하게 판매되는 상품입니다.

▲ 그림을 클릭하면 버드아일랜드(Birdisland) 태양상회 상품 홈으로 연결됩니다.

외롭지 않은 독도(돍섬)

20130303dokdo

‘독도’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문헌에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선 성종 때에는 ‘삼봉도(三峰島)’라고 하였고, 정종 때에는 ‘가지도(可支島)’라고 하였고, 울릉도 주민들은 ‘독섬’이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1881년 이후에는 ‘석도(石島)’나 ‘독도(獨島)’ 등으로 불렀다.

이것을 프랑스에서는 항해한 배 이름을 따서 ‘리앙쿠르(Liancourt)’, 영국에서는 ‘호넷(Hornet)’으로 부르며, 해도에 표기하고 있다. 일본은 1905년 2월 22일 러 · 일 전쟁 통에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로 개칭하고 일본 시마네 현에 소속시켰다.

그런데 지금 울릉도의 나이 드신 어른들은 독도를 ‘독섬’이라고 부른다. 즉 ‘돌섬’이라는 것이다. 국어사전에는 돌의 경상도, 전라도 방언은 ‘독(石)’으로 되어 있고, 중세국어에는 ‘돍’이었다. ‘도(島)’는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셤’으로 표기하였다, 그래서 ‘독도’는 돍셤 〉 돍섬 〉 독섬으로 음운 변화를 하였고, 독섬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엉뚱하게 ‘독도(獨島)’가 되었다.

한편, 일본 사람들은 ‘울릉도’를 ‘죽도(竹島, 다케시마)’로, ‘독도’를 ‘송도(松島, 마쓰시마)’로도 불렀다. 아마 울릉도에는 대나무가 많아서, 독도에는 소나무가 있어서 그러한 명칭을 만들어 썼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들은 명칭에서도 혼란에 빠졌다.

중요한 것은 일본의 다케시마 명칭은 울릉도 사람들이 부르는 독섬을 (takesima)로 음사하였고 이것을 죽도(竹島)라고 표기한 것이다.

산삼은 조도겨울무로 통한다.

20130303muoo

겨울철에 산삼은 조도겨울무로 통한다.

조도는 154개 다도해 섬이지만 반농반어의 생활을 하는 가운데 주로 동절기 막바지 들녁 농사는 겨울무, 봄동,쑥농사가 50% 를 이룬다.

특히, 조도겨울무는 동삼으로도 불리우며, 타지역에 비해 해안가에서 자라기 때문에 해풍을 맞고 자라 당도나 아삭거리는 맛이 일품이다.

겨울철에 출하되는 조도 무는 농약을 전혀 쓰지 않고 친환경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가락시장을 비롯한 대도시 시장에서 진도조도겨울무, 무말랭이, 시래기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마도는 우리땅이다.

20130303007

독도박물관에서 ‘대마도는 본시 우리땅 특별전’을 일본이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가진 지난달 22일부터 오는 5월말까지 특별전을 연다.

16세기 중종 때 제작된 관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팔도총도(八道總圖)’에는 한반도 바로 옆에 대마도가 그려져 있다.

사실 역사 자료에서 대마도가 한국땅이라는 근거를 찾기는 어렵지 않다. <세종실록>에는 “대마도라는 섬은 본시 계림(신라의 별칭으로 경상도를 가리킨다)에 속한 우리나라 땅이다.”라는 표현이 있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도 대마도는 조선 땅으로 표기돼 있다.

팔도총도는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104.5㎝, 가로 71.5㎝이다. 부분적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바다는 『동국여지승람』 팔도총도와 같은 흑파문(黑波文)이나 판각이 아니고 필사로 되어 있다.

제작연대는 1416년(태종 16)에 처음으로 설치한 제주도의 대정(大靜)과 정의현(旌義縣) 이 있고 1684년(숙종 10)에 설치한 함경도의 무산군(茂山郡)이 없는 것으로 보아 1416∼1684년 사이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함경도ㆍ평안도ㆍ황해도를 포함하는 북부지방이 경기 이남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작게 그려져 있다.

지도의 윤곽과 하계망은 조선 전기의 정척(鄭陟)ㆍ양성지(梁誠之)가 만든 「동국지도(東國地圖)」와 유사하나 산맥의 표시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목판본이면서도 전해지는 지도가 많지 않으며, 이찬(李燦) 소장본과 동경한국연구원 소장본이 있다.

섬지역에서 학교는 꼭 필요하다.

20130303007school

도서지역 섬들에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자연 감소로 인하여 섬지역 학교들이 폐교 위기에 처해 있다.

오는 3월 4일 조도초·중·고등학교가 오전10시,11시 각각 입학식을 하는 가운데 조도고등학교에 지역 늦깍이 신입생 6명이 폐교위기에 처한 학교도 살리고 어려운시절 집안사정으로 배우지 못한 한을 풀고자 입학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