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한국기행 “조도군도”편 방송 안내

20131022007

다시찾아온 EBS 한국기행 “조도군도”편 방송 안내

본방사수 (월~금) 밤9시30분~9시50분
금주재방 (토요일) 오후5시45분~7시15분
전주재방 (월~금) 오전10시~10시20분

지난 2011년 EBS한국기행 “조도군도”편과 올해초 3월 EBS한국기행 “진도”편 방송을 통해 방영된바 있는 조도를 EBS교육방송이 다시 찾아왔다.

당초 지난9월중 촬영한 분에 대해 21일부터 방송 예정이었으나  <제 10회 EBS 국제다큐영화제 EIDF>가 방송되는 관계로 한주 연기되어 10월28일부터 11월1일 한주간 방송 됩니다.

다음주 방송분에서는 154개 유무인도로 이루어진 조도면에는 바다와 섬으로 이루어진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사람들의 따스한 정이 있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한국의 하롱베이라 불리는 조도군도. 하조도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섬 154개가 바다에 점점이 떠 있는 모습이 마치 새들이 떼 지어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새들의 섬’ 으로 불리는 곳이다.

검푸른 바다는 바깥 세상과 섬을 갈라놓은 대신 섬사람들에게 사시사철 풍요를 선물한다. 고깃배는 삼치와 멸치로 넘실거리고,낚싯대 끝을 타고 숭어와 학꽁치가 끊임없이 올라온다.

파도가 드나드는 바위에는 거북손, 삿갓조개, 진주담치 같은 맛 나는 먹을거리가 지천.바다를 삶 터로 둔 이들은 ‘풍요’를 줍느라 매일 분주하다.

갖고 싶은 풍경이 있고 풍요로운 바다를 닮아 넉넉한 사람들이 사는 바다 위의 낙원, 조도군도의 가을을 만나러 간다.

1부. 아름다운 고향 섬, 관매도
2부. 살맛나는 고향, 대마도
3부. 물고기들의 낙원, 가사도
4부. 풍요로운 은빛바다, 청등도
5부. 바다곳간 문을 열다, 조도

새떼처럼 많은 섬이 모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조도군도(鳥島群島)” 그곳에서 아름다운 풍광을 스케치하며 섬마을 사람들의 애환과 삶이 녹아 있는 사람 냄새나는 이야기가 기다려진다.

대한민국의 숨은 비경을 찾아 떠나는 공간으로 안내하며, 역사와 풍습, 건축, 문화의 향기를 느끼고 전달하는 프로그램은 우리들이 모르고 있는 또 다른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살아있는 현장 다큐멘터리입니다.

전국 면단위에서 가장많은 섬154개(유인도35개, 무인도119개)를 거느리고 있는 섬 집산지로 조도6군도(조도,가사,성남,독거,맹골,거차군도)로 불리우며, 조도(鳥島) 섬들을 지역주민 마져도 대부분이 섬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

역사적 사건을 본다면 1816년 영국함대가 서해안을 따라 남하다 섬무리 발견하고 탐사선 선장이름을 딴 하조도(암허스트군도)라 칭하여 영국옛지도에 기록했을 정도로 서양에 조선의 다양한 문화를 알린 중요한 곳이다.

또한, 영국함대가 다녀간 이후 영국은 섬230개를 거느린 진도를 빌려달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때 조도를 빌려줬다면 지금의 홍콩이 되었을 것이라는 야사는 섬사람들에게 있어 지역에 대한 자신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진도군 섬230개중 154개가 조도면에 속해 있고 그중에서 진도 팽목항에서 남서쪽 11Km 떨어진 면소재지인 어미섬 하조도에는 인구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민들은 대부분 밭농사를 비롯한 농업과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톳,미역등 해조류 양식업을 겸하고 있다.

진도군 조도군도 오는 길은

자가용 이용시
* 수도권 : 서울→서해안고속도로→목포 I.C→영산호하구둑→영암방조제→금호방조제→77번국도→우수영→진도읍→임회면 팽목항→정기여객선 승선
* 경상권 : 부산→남해고속국도→광양→2번국도→강진→18번국도→진도읍→임회면 팽목항→정기여객선 승선
* 호남권 : 호남고속국도→광주→목포 I.C→영산호하구둑→영암방조제→금호방조제→77번국도→우수영→진도읍→임회면 팽목항→정기여객선 승선

PS, 한국의섬 ( KOREAiSLAND.com ) 운영자가 이번 소식과 별도로 재차 강조하는 부분은 우리지역을 보여주는 수많은 프로그램이 다녀가고 있는 것은 좋으나 프로그램을 보고 더좋은 여행지를 둘러본 여행자,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한 불만자, 지역에 대한 막연한 자랑하는자, 그리고 무엇보다도 낙후지역을 이해하지 못한자에게는 조도는 하찮은 곳입니다.

하지만, 이곳에 살아가는 주민 개개인은 당신들이 살아가는 세상과 소통하고자 하는 단 한가지 모습으로 여러분께 보여지 길 바랍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의 관심과 요구를 원치 않는다는 것입니다. 있는 그대로를 받아 드릴 수 있는 여행자와 관심자의 방문을 바랍니다.

지역주민들이 각자 자신의 생활터전에서 있는 그대로 삶을 보여주고 싶고 그렇게 살아가고 있는데 방송의 단편적인 면을 보고 찾아와 불만을 이야기 한다면 여행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방송을 통해 보여지는 것은 극히 일부의 조도사람들의 삶과 극히 일부 조도군도 모습일 뿐입니다.

섬들의 천국 조도 1박2일 섬여행

2013jodo_b

섬들의 천국 진도 조도 1박 2일 섬 여행

전남 진도의 섬 조도는 섬들이 새처럼 바다에 올망졸망하게 앉아 있습니다.

멀리 추자도와 제주도가 어렴풋이 보입니다. 1816년 영국 해군장교가 이 섬에 올라 경치에 감격, 항해기를 남긴 곳이기도 합니다.

조도해역은 해상국립공원으로 도시민들에게 몸과 마음을 내려놓게 하는 매력이 있습니다. 다도해 ‘섬’을 알리는 명품프로그램입니다.

전남도·진도군·목포대도서문화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 기간:1차/10월26일(토)~27일(일),2차/11월2일(토)~3일(일) 각 1박2일

– 집결:26일과 11월2일 오전 6시30분 서울강남역 9번 출구(비수도권은 문의)

– 코스:하조도 등대~신전마을 바다양식장~해안도로~닻배노래공연~도리산 전망대~맹성리 멸치잡이(관련기사‘Magazine’ 5면) – 참가비:22만원(각 40명 접수순)

– 예약·문의:1588-3925(목포앤투어), 목포도서문화연구원 http://islands.mokpo.ac.kr/

2013jodo_b2

추가: http://blog.naver.com/greenjeonnam?Redirect=Log&logNo=70178697539

2013년도 조도면 노인위안잔치 안내

20131025007

2013년도 조도면노인위안잔치 안내

모시는 글

가정의 행복과 안녕을 기원하며, 평소 조도면 발전을 위해 성원해 주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경로의 달을 맞이하여 관내 어르신들을 모시고 제17회 조도면 노인위안잔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꼭 참석하시어 즐겁고 흥겨운 한마당잔치가 되도록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 일시 : 2013.10.25(금) 10:30~

○ 장소 : 조도중고등학교 실내체육관(조도관)

○ 주관 : 조도면여성자원봉사회

○ 후원 : 조도면, 기관사회단체, 이장단

조도면장 박종득 / 조도면여성자원봉사회장 장경자 배상

♧ 기타 문의 사항은 조도면사무소 복지담당을 찾으세요. ☎ O61-54O-68O4

진도, 조도초 국외체험학습을 떠난다!

2013_china

진도, 조도초등학교 글로벌리더 육성을 위한 국외체험학습 추진한다.

조도초등학교(교장 민의식)는 “섬지역의 생활환경을 벗어나 견문을 넓혀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매년 국외체험학습을 추진하고 올해부터는 6학년(분교장 포함)들 대상으로 9월24일부터 27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중국 북경 일원으로 국외체험학습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주요 체험학습은 왕부정거리, 북경서커스관람, 만리장성, 이화원, 베이징올림픽공원, 천안문, 자금성, 천단공원, 수도박물관등 견학하고 금면왕조 뮤지컬도 관람한다. 특히, 학교에서는 북경주재 한국대사관을 견학하도록 하는등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국외체험학습은 조도초운영위원회(위원장 박사수) 예산심의로 지난7월 예산서에 의해 학교에서 대부분 경비를 부담하고 학부모도 일부 부담하여 실시하기로 하여, 분교장학생1명과 본교학생10명, 인솔단3명으로 국외체험단이 구성됐다.

또한, 박국태씨가 “본교동문들도 후배 양성을 위해 도와야 한다”며 동창들에게도 알려 조도초57회(광주전남지역 조도중19회 동창회 회장 한미자)에서 뜻을 모아 30만원, 조도이장단협의회(회장 정순배)에서 “조도의 어린 새싹들은 곧 조도의 희망”이라면서 11명에게 각각5만원씩 55만원을 지원하고, 학교장도 동문들과 뜻을 함께하여 58만원을 체험학습에 보태도록 하는 등 많은 분들의 관심과 정성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민의식 교장은 “섬지역의 소외된 우리 아동들에게 육지와 같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운영으로는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며, “특색교육활동, 체험활동 등을 활성화하여 아동들의 내적 동기를 자극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20년 후에는 미래의 리더로서 조도초등학생들이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집KBS다큐 보물지島 조도 첫방송 탄다.

bomuljido_KBS1

KBS 1TV가 국내 아름다운 섬들을 찾아가는 10부작 기획 시리즈 ‘보물지島’를 창원KBS총국의 이지윤PD 등이 기획, 제작했다.

오는 23일 밤10시50분 “보물지島” 는 총10부작으로 진도군 ‘조도’ 편이 첫방송 됩니다.

전국 3천여개에 달하는 섬 가운데 빼어난 경치로 이름난 10곳을 찾아가 그 비경과 섬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내용이다.

그 첫방송으로 ‘조도’는 154개의 유·무인도가 마치 새떼처럼 오밀조밀 무리지어 앉아 있어 조도군도로 불리고 이들 섬들의 어미섬이 바로 ‘조도’다.

조류가 센 장죽수도가 흐르는 조도 앞바다에서는 일명 ‘쫄쫄이 미역’이라는 돌미역이 이곳 조도에선 유명하여 미역을 따기 위해 조도사람들은 1년을 기다려 여름철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시기 갯바위에서 돌미역을 채취한다.

새때처럼 앉은 조도군도의 섬들을 조망 할 수 있는 도리산전망대의 아름다운 일몰, 밀물에는 사라지고 썰물이면 모습을 드러내 시원한 샘물이 솟아나는 신비의 바다샘 등도 소개된다.

첫번째 연예인 출연자로는 ‘섬마니’로는 올라이즈 밴드의 우승민이 출연해 섬의 특징을 가장 잘 담은 세 가지 보물을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올드미스 다이어리’의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한 배우 김영옥이 첫 방송의 내레이션을 맡았다.

KBS 관계자는 “지역 활성화를 위해 지역국의 기획안을 받아서 채택된 것을 전국으로 방송하는 것”이라며 “이런 기획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다도해 섬여행 체험 프로그램 인기

20130720007

전남 다도해 섬여행 체험 프로그램 인기

전라남도는 해양관광의 도시, 목포 삼학도와 고하도 일원에서 21일까지 이틀간‘해양레저체험과 목포 근대역사 현장 찾아가기’를 주제로 개최된 목포여행에 수도권 여행객 등 60여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목포여행의 주요 프로그램은 다도해 섬을 생생하게 조망할 수 있는 요트세일링과 삼학도 카누체험, 삼학도 역사이야기와 난영공원, 고하도 충무공 이순신유적지(모충각), 육지면(陸地綿) 발상지, 유달산과 목포근대역사관, 구)일본영사관 탐방 등으로 목포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목포 오미(五味․민어, 갈치, 꽃게, 낙지, 홍어)를 선보인 목포밥상을 맛 본 후 시원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걷다가 음악과 함께 춤추는 바다분수 쇼를 감상하면서 여름밤의 낭만을 만끽하는 시간은 여행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참가자들은 “그동안 목포를 방문한 적은 있었지만 목포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며 “이번 여행을 통해 목포의 역사와 가치를 알게 되고 다양한 해양레저체험과 함께 남도의 맛과 멋을 한꺼번에 느낄 수 있었다. 다시 오고 싶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번 목포여행은 지난 3월 안좌도 여행을 시작으로 여수 사도, 보성 장도, 신안 임자도에 이어 다섯번째로 추진된 섬여행이다.

그동안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300여 명의 여행객이 적정 참가비(1인당 18만원 내외)를 부담하고 참가했으며 여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고정고객으로 등록하는 경우도 많다.

이승옥 전남도 관광문화국장은 “여행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며 “이번 여행을 계기로 삼학도 요트마리나를 중심으로 해양레저체험과 목포 근대역사 등을 자연스럽게 융합해 구매력 있는 여행상품을 발굴하고 집중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섬여행 일정은 9월 완도 청산도와 10월 진도 조도, 11월 여수 섬 등으로 예정됐다.

하조도등대 해양문화공간으로 새단장

하조도등대 해양문화공간으로 새단장한다.

연간 2만∼3만명이 다녀가는 전남 진도군 조도면 하조도 등대(하조도항로표지관리소)가 해양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목포지방해양항만청(청장 남광률)은 ‘자연과 희망을 품은 하조도 등대’를 주제로 조도(鳥島)의 지명에서 들어나는 특징인 어미 새 날개 형상의 조형물, 포토존, 포토방명록존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지난 1909년 2월에 초점등불을 밝힌 하조도 등대는 105년 동안 진도와조도 사이 장죽수도를 지나는 선박 길잡이 역할을 해 왔다.

하조도 등대 앞에 떠 있는 아름다운 다도해를 보며 걸을 수 있는 산책로, 지구본 조형물, 운림정 등 편의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조도의 관광명소 중 한곳이다.

김동태 진도해양교통시설사무소장은 “지역내 다른 등대도 해양문화친수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으로 2억 5천만원을 들여 오는 10월 준공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대중노벨평화상 기념관 개관한다.

김대중노벨평화상 기념관 개관한다.

SAM_8456

목포시는 오는 15일 삼학도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에서 이희호 여사를 비롯한 해외인사와 주한외교사절, 정·관계 주요인사, 김대중기념사업 관계자,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할 가운데 개관식을 가질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2000년 6월 15일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만나 남북정상회담을 한 날로 우리 민족에게는 잊을 수 없는 역사적인 날 목포 삼학도공원에서 대한민국 평화통일을 갈망했던 한 지도자를 기념하는 기념관이 개관한다.

우리나라 최초 노벨상 수상을 기념하는 건축물로 전시동과 컨벤션동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평화의 나래, 세계를 품다’라는 주제로 5대양 6대주를 형상화하여 건축되어 故김대중 대통령 유품과 노벨상 관련 희귀 사료들이 전시된다.

기념관은 목포시 삼학도의 부지 1만 5천 600㎡에 연면적 4,677㎡, 지상 2층, 높이 14.1m 규모로 200억 원(국비 100억 원, 도비 40억 원, 시비 6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전시동은 대통령의 일대기를 소개하는 영상실과 제1-제4전시실, 대통령 집무실로 구성됐고, 컨벤션동에는 다목적 강당과 자료실, 세미나실을 마련해 국제회의나 워크숍, 특별기획전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 유품으로는 노벨평화상 기념메달과 학적부, 연설문, 옥중서신, 생활소품 등을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김대중도서관에서 협조받고 시민 소장자료를 기증받아 총 4,830여 점을 확보했다.

한편, 목포시가 2000년부터 삼학도 복원화 사업을 하고 있는 목포의 상징인 삼학도(세마리의 학)에는 노벨평화상기념관, 어린이바다체험과학관, 이난영공원, 카누체험장, 내항에 위치한 천혜의 요트항으로 마리나 시설이 완공되면 해양레져관광명소가 될 전망이다.

해양시대를 준비하는 인구 급증

5일간 면제교육으로 요트면허취득

SAM_1207 SAM_1210 SAM_1246 SAM_1352 SAM_1366 SAM_1784 SAM_1846 SAM_1851

(사)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전남지부(지부장 황재웅)가 실시한 요트조종면허시험 면제 교육과정을 통해 지난 3월 1기 6명, 이달 5월 2기 15명이 요트면허를 취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상레저안전법이 지난 2011년 6월 개정되고 올해 2월 1일자로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전남지부가 면제 교육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요트조종면허시험 면제교육(이론+실기 40시간) 이수만으로 요트 조종면허를 취득하게 된 것이다.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전남지부)는 호남 유일의 요트 조종면허시험 면제교육기관으로 목포해양대 출신의 요트전문가로 구성된 우수한 강사진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요트항해를 비롯한 실기, 목포VTS(항만관제센터) 및 목포마리나 견학은 물론 마린시뮬레이션 센터 실습, 항해통신 및 해도작도 실습, 응급처치 등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매회 교육생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면제교육을 개선하여 제공하고 있다.

(사)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전남지부와 함께 운영되고 있는 전남 요트조종면허 시험장은 2011년 개장 이래 최근까지 총 41회의 실기시험을 진행, 865명의 요트면허시험 합격자를 배출해 2년 연속 전국 요트조종면허 시험장 중 합격자 수 1위를 달성했다.

지난해 요트면허 합격자는 전국 1천260명(합격률 88%), 전남 384명(합격률 94%)으로 총 합격자의 30%를 차지했다.

한편, 전국에는 요트면허시험장 8개소(서울, 강원, 경북, 통영, 고성, 전남, 부산, 제주)가 운영 중이며 요트조종면허 면제교육장(고성, 목포, 통영, 부산, 제주)관련 문의는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전남지부 요트조종면허 면제교육장(061-247-0331)로 하면 된다.

이순만 전남도 해양항만과장은“도내에는 목포에 57척, 여수에 100척 규모의 요트 계류장이 운영 중이고 올 연말까지 함평 20척, 완도 9척 규모의 계류장이 완공될 예정”이라며 “요트를 즐기려는 일반 국민들이 이처럼 기반시설이 잘 갖춰진데다 면허 합격률도 높고 면제교육을 통해 요트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을 고려해 전남으로 많이 몰려올 전망”이라고 밝혔다.
 
넉넉하고 아름다운 남도관광과 함께 F1경기장에서의 카트체험, 매주 열리는 크고작은 모터스포츠 경기관람에 요트체험, 교육까지 오감이 즐겁고 유익한 전라남도 그 매력에 빠져보세요.!!

찾아가는 도립도서관 ‘책책빵빵’ 운영

SAM_0507

찾아가는 도립도서관 ‘책책빵빵’ 운영

전남도립도서관에서는 지난 14일부터 섬과 농산어촌 마을을 찾아가 책 대출과 함께 영화 상영 등 다양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이동도서관 ‘책책빵빵’ 운영하고 있다.

책책빵빵은 38인승 중형버스를 개조해 1200여 권의 장서와 프로젝터 및 스크린 등을 갖추고 도내 섬, 산간, 오지 등 책을 읽고 싶어도 접근이 어려운 농산어촌마을 주민들을 찾아 도서 대출, 책 읽어 주기, 영화 상영 등을 펼치고 있다.

책책빵빵은 매주 화요일·목요일 등 9개 군 24개 지역을 정기적으로 순회 방문, 도민들의 책 읽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130308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