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 보석보러 놀러 오세요.

dorisan_view_point_20140728

조도는 유·무인도가 새떼처럼 무리지어 있어 새섬(鳥島), 조도군도(鳥島群島)로 불리고 섬들의 어미섬‘하조도’를 중심으로 178개섬(35개 유인도, 143개 무인도)로 이루워져 가사군도, 성남군도, 독거군도, 거차군도, 맹골군도, 상도군도 등 이른바 조도6도군도로 불리운다.

조선시대 행정구역 이름이 여러섬를 거느린 제도면(諸島面)이었으나 1895년 지금의 행정구역 이름인 조도면(鳥島面)(칙령98호,1895년5월26일)이 되었다.

조도는 옛부터 반농반어로 보리,고구마,대파,배추등 농산물을 재배하고 김,미역,톳등 수산물을 채취하며 살았고 조기잡이, 꽃게잡이 어업이 성업을 이루던 40년전엔 인구 2만명이 각섬에 흩어져 살며 서남해안 해산물 생산기지 및 유통의 중심지 였다.

그당시 전국 항포구에선 원양어선이 출발할 때 “조도가리”(조도갈이: 조도갈 사람은 이배를 타시오! ※조도는 원양어선들이 외해로 나갈때 배고사를 지내며 피항하던 곳이 였다.)를 외치며 배 탈 사람을 모으는 소리를 흔하게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시대는 지났지만 국내 마지막 남은 미지의 세계로 조도갈이들의 방문을 기대하며 다도해전망대를 소개하고자 한다.

도리산(睹里山, 覩里山)전망대는 높이219m의 대리산, 조선시대 남도진 봉화 돈대(墩台)터, 산정상에서 섬마을을 지켜본다는 의미로 돈대와 연관지어 2003년 본인이 “도리산전망대”로 명명하면서 부터 점차 알려지기 시작하여 섬을 방문하는 발길이 늘어나고 있다.

허나 200여년 전, 서양에서 조도의 가치를 먼저 알아 봤다. 1816년 9월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탐험하던 영국 탐험대 호위함(리라호 선장 바실홀과 일행)의 방문이 있었으며, 그는 탐험후 영국왕실 보고서< 조선 해안 및 류쿠제도 발견 항해기>에서 하조도를 앰허스트섬, 상조도를 몬트올섬, 외병도를 샴록섬, 내병도를 지스트롤섬이라 함께 동행한 영국함장들의 이름을 붙여 조도면 섬을 영국지도에 표기하였다.

도리산전망대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조도지구내 중심에 위치한 상조도에 있어 다도해의 전 경관을 360도 조망 할 수 있는 최적지로서 인근 해수욕장(관매, 신전, 모래게 등), 기암괴석이 즐비한 다도해 등과 연계한 관광지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곳이며 본인이 전라남도 민원메신저로 활동하면서 건의로 전망의섬 개발 계획에 조도가 포함되면서 부터 개발의 시초가 되었다.

전라남도 전망의섬 개발 사업지 지역민으로서 더나아가 그당시 조도를 국제적으로 이용 할 복안으로 제시한 J3(Jeonnam Jindo Jodo)프로젝트 일환으로 『국제도서테마파크』 (International Islands Theme Park)조성 건의도 함께 하기도 하였다.

최근 조도면 해역에서 일어난 세월호 여객선 침몰사고로 인하여 사업을 완료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8월말 완공이 눈앞에 있다.

한편, 미비한 부분으로 장애인 편의시설이 없어 리프트 또는 슬라이드 형태의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건의가 관철되어 누구나 360도 다도해를 둘러볼수 있는 전망대에 오를 수 있기를 바란다.

도리산전망대가 우리지역의 랜드마크로 만족 할 수 없으나 건의 10년만에 완공 된것에 대해 다행이라 생각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도리산전망대를 방문 하길 바랄 뿐이다.

팽목항 추모관 보다는 사고현장에

SAM_7083

세월호 희생자들 잊지 않겠다고 추진하는 진도 팽목항 추모관 건립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이번 세월호 참사로 절망과 실의에 빠진 유가족들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사건에 대한 우리 모두의 잘못을 반성하고 삶의 의미를 돼찾아주려는 시민사회의 자발적 움직임으로 대한민국을 재부팅하는 강력한 메세지를 담아 추모관을 건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던 이로서 팽목항에 추모관 건립보다는 사고현장이 바라보이는 곳에 건립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세월호 침몰사고 수습이 마무리 되지 않는 시점에서 침몰사고를 통해서 보는 우리모습들중 생명의 고귀함을 바르게 보지 못하는것 같아 사고지역에서 사는 사람으로서 희생자 가족들에 대한 진심을 담아 건의 합니다.

예로 미국이 일본 진주만 기습으로 희생당한 넋을 기르고 잊지 않기 위해 진주만내에 추모관을 지어 역사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과거를 잊지 않겠다는 각오를 보여주듯이 세월호 사고해역이 있는 곳에 추모관이 건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에서 계속되는 참사들 가운데 추악한 정관계 유착으로 빚여진 이번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관은 진정 망자들에 대한 예의와 다시는 이와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추모관을 사고해역이 바로보이는 동서거차도나 하조도에 세워져야 한다.

세월호 사고이후 일주일만에 나온 정부주도의 팽목항과 서망항 사이에 추모관 및 추모공원 조성에 대한 의견이 있었으나 추모열기에 일시적으로 나온 정책이었다면 당연 재고되어야 하고 이번 참사의 희생자들의 안타까운 희생을 잊지 않고자 한다면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며 바라볼 수 있는곳에 시민주도로 추모관이 세워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추모관을 방문하는 추모객의 교통편의를 생각한다면 팽목항이 적절하다고 보지만 팽목항에 추모관이 어느 관광지의 관광상품 처럼 그런 목적으로 건립된다면 또다시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참사 가운데 하나로 묻혀버릴 뿐만아니라 세월호 망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그게 아니라면 가족들이 많이 계시는 안산시에 건립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봅니다.

※ 피해자 가족 및 진도주민 지원현황(6.12. 기준)
ㅇ 피해가족 생활안정자금 : 438세대 960백만원
ㅇ 피해가족 긴급복지지원금 : 395세대 767백만원
ㅇ 진도지역 주민 생활안정자금 : 1,104세대 942백만원
ㅇ 수색 참여 어선 보상금 : 214척 1,684백만원
ㅇ 진도지역 어가 특별영어자금 : 382 어가 11,323백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