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목항 기억예술마당 열세번째

다가오는 4월 28일 토요일 4시 16분 진도 팽목분향소에서 세월호 참사의 진실규명과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잊지않기 위해 광주전남예술인들이 함께하는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열고 있는 팽목항 세월호 기억예술마당 열세번째 공연을 연다.

지난 4월 21일 이낙연 총리가 팽목분향소을 방문하면서 진도주민들과 유가족들의 의견을 듣고 어떤 형태로 ‘팽목항 416공원’이 조성 될지 세월호 참사에서 함께했던 진도사람들를 위해 어떤식으로든 위로 해주면 좋겠습니다.

팽목항 인근에 2021년 3월 개관 목표로 부지 10만여㎡ 규모의 국립해양안전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으나 세월호 참사 희생자 수습장소인 팽목분향소 자리에 세월호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반성과 교훈 장소로 ‘팽목항416공원’ 조성과 ‘세월호 선체’를 유치하여 적극적인 수용태세를 갖춰 나갔으면 합니다.

폴란드 아우슈비츠, 미국 그라운드제로, 캄보디아 킬링필드, 이탈리아 콩크리디아호, 대한민국 제주4.3, 서대문형무소, 등등 역사교훈여행의 사례를 참고하여 사고수습장소였던 팽목항에 ‘팽목항416공원’과 ‘세월호 선체’를 유치하여 세계적인 역사교훈여행 장소로 만들어 봤으면 합니다.

진도는 관광시즌이 도래하면서 주민들의 마음에서 역사교훈여행이 나쁘게 보일 수 있으나 ‘팽목항 416공원’과 ‘세월호 선체’를 활용하여 지역의 경제활성화에 사례들을 참고하여 반면교사의 좋은 결과로 만들어지길 바래봅니다.

한편, 오는 8월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활동 종료 후 선체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진도군이 세월호 선체 유치의 찬반 의견을 묻는 군민 여론조사를 오는 5∼6월 실시하기로 하였습니다.

팽목항 세월호 기억예술마당

세월호 인양을 바라고 요구하는 차원에서 팽목항에서는 매월 마지막 토요일이면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바라고 미수습자를 기다리는 기다림의 공연이 23회에 걸쳐 있었습니다.

이후 세월호가 인양 되면서 미수습자 가족들이 팽목항을 떠나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바라고 팽목항 분향소를 지키고 그들을 잊지 않으려는 0416기억예술마당 여덟번째를 진행합니다.

오늘(11월 20일) 미수습자 다섯분이 마지막으로 인천과 안산에서 모두 영면에 들어가면서 팽목항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팽목항 분향소를 철거하려 할 것이 자명합니다.

팽목항 주변은 진도항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세월호 보다 더 큰 배도 정박 할 수 있게 접안시설 기초작업 공사와 국도18호선, 서망항 형상변경 공사, 국립해양안전관 공사진행으로 어수선 합니다.

팽목항분향소와 참사의 흔적들은‘가만히 있지 않는’사람들이 세월호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이후 안전한 우리 사회를 만들어 가라는 공간이며 목지점으로 보존되어야 할것입니다.

더불어 지난해 11월 국회 신속처리안건으로 올려진‘사회적참사 진상규명 특별법과 이후 수정법안’의 24일 통과를 요구하는 시위가 국회 앞에서는 진행되고 있어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