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특구 홀대하는 문화재 실태

2006년7월 전라남도지정 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17년 동안 진도군 7읍면 중 조도면 만 유일하게 민속전수관 없음

2023년 진도군에서는 도지정 무형문화재 공개행사를 오는10월 21일~12월 8일까지 각 면단위 도지정 무형문화재가 있는 곳을 찾아가 공개 행사를 하는데 조도닻배노래보존회는 10월 30일 월요일 10시부터(당초 25일 협의 변경) 곤우마을 앞에서 ‘2023 조도닻배노래 공개발표회’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매년 10월경 무형문화재 공개발표회를 하는 조도닻배노래보존회는 지난 2006년7월27일 도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 보유단체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우리지역 문화유산인 조도닻배노래, 조도상여소리, 조도농악 및 지역 유·무형문화 유산 보존 전승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국 최초 문화예술특구라고 자랑하는 진도군 7개 읍·면 중 조도만 전수관이 없는 것과 우리지역 유일의 무형문화재를 후손들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서 전승 활동 하는데 있어서 보유자를 중심으로 전승 보존 활동을 해야 하나 조도닻배노래보존회는 보유자가 없습니다.

조도닻배노래보존회에서 2006년 지정된 조도닻배노래 ‘닻배소리’ 분야의 보유자였던 김연호씨가 2009년 안타깝게도 故人이 문화재 지정 이후 3년이 안되어 후계자에게 전수하지 못하고 고인이 되어 현재까지 조도닻배노래’닻배소리’부분 보유자가 없는 상태로 조도닻배노래 전승지인 조도지역에서 보존회원들이 어렵게 전승·보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해서 지난 2022년3월23일 조도민속전수관 건립 요청을 조도주민111명의 서명을 받아서 조도면을 통해 진도군에 공문서로 요청 한 바 있음에도 각 읍면에 한두개씩 있는 민속전수관이 2023년 현재까지 없다는 것은 사장되고 있는 지역문화 유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진도군이 전국 최초 문화예술특구라고 자랑스럽게 쓸 수 있을지 의문이다.

2021년12월 문화재 담당부서에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2023년 현재까지 철거되지 않고 있음

또한, 지난 21년12월04일 진도문화관광과장 앞으로 본 보존회가 엄연히 존재하는데 불법단체라고 할 수 있는 개인단체를 안내하는 지주식 간판은 본 보존회 활동을 저해하는 불법행위에 대해 시정을 요구하였으나 아직도 철거되지 않고 있어 진도군 문화재 관리 공무원들의 본 보존회에 관하여 정확한 지위를 인식하고 이후 이런 사항이 재발하지 않도록 다시한번 불법 간판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철거 조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대외적으로 향토문화유산의 보고라고 자랑하지만 사장 되어가는 문화유산을 보존 해야 할 의지가 진정 진도군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지만, 조도주민들은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보존 전승 활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사항에 대한 조치가 신속히 이뤄지길 바라고 있다.

2022 진도 무형문화재 공개 발표회

2020 남도국악원 초청 조도닻배노래 공연 모습

조도닻배노래보존회(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는 매년 지역 행사에서 공연을 펼치고 있으며 오는 2022년 10월 12일 오전10시부터 진도무형문화재전수관 야외마당에서 도지정, 군지정 2022 무형문화재 공개 발표회에 참여 합니다.

전라남도와 진도군 등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공개 발표회는 진도북놀이, 진도만가, 남도잡가, 진도소포걸군농악, 조도닻배노래, 진도홍주 등 보유자를 비롯한 전수자들이 참여해 공연과 함께 관람객들과 어울 마당을 펼칠 예정이다.

조도닻배노래는 어업노동요로 2006년 7월 27일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지정 단체로 되었으며 선조들이 거친 풍랑과 싸우며 술비(조기)잡이를 하던 과정(출조, 고사, 조업, 귀향)으로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담겨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 전승되고 있다.

과거 조기잡이는 제주도 부터 황해도에 이르기까지 서해안 전역에서 이루어지던 주된 어업으로 닻배라고 칭하는 배를 타고 수심이 얕은 근해에서 조업하는데 전국에서 조기잡이배를 타기 위해 전국 항포구에선 “조도 갈 이” 외침으로 떠들석 했다고 한다.

조기잡이 어장이 시작되는 조도연안에는 수백척의 닻배가 몰려 용왕님께 제사를 지내고 만선으로 돌아올때 제사를 지내는 당(堂)이 존재하며 조도닻배노래의 시초인 닻배소리가 성행했던 이유는 어장을 나오고 들때 어선을 수리하는 선소가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전해져오고 있다.

닻그물은 정선망(碇船網) 또는 정망(碇網)이며, 그물에 수백 켤레의 나무 닻을 채운 모양의 기다란 장막처럼 생긴 자망(刺網)을 해저 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닻으로 고정시켜 그곳을 통과하는 조기잡이 하던 무동력 배로 닻배라 칭하였다.

닻배, 투망, 중선등은 거의 징, 쇠. 북을 갖추어 다였고, 징은 안개 낄 때 자기 배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용으로, 북은 배에서 고사 지낼 때 고수방구(고사지낼 때 북을 처음에는 늘어지게 갈수록 빨라지게 진 장조, 중머리, 자즌마리, 휘모리 3번 반복)를 치는 관례에 따라 배가 휘어 (休漁) 기간에도 명절(설과 추석)에는 배 선왕에 고사를 지내고 고수방구를 췄다.

이를 닻배소리 부분 무형문화재 제40호 故김연호 선생께서 닻배선원 생활에서 체득한 것을 공연용으로 고증한 것으로 조도닻배노래는 공연 순서에 따라,‘그물 싣는 소리’, ‘노 젓는 소리’, ‘풍장소리’, ‘그물 내리는 소리’, ‘풍어를 비는 고사’, ‘그물 올리는 소리’, ‘만선풍장소리’,‘뒤풀이’로 닻배를 이용한 조기잡이 어로 작업은 사라졌지만 지역민들에 의해 전승되어 오고 있다.

닻배소리는 선후창 등의 가창방식으로 박자 구조는 곡에 따라 다양한데, 여느 어업노동요와 같이 3소박 4박자나 3소박(3분박) 2박자를 주로 사용하나, 그물을 올리거나 내릴 때 부르는 <술비소리>는 3소박 6박자의 독특한 박자 구조를 갖는다.

한국의섬에서 서비스 하는 조도닻배노래보존회 ( http://jododatbae.com )를 통해 그동안 조도닻배노래 무형문화재 보존 전승 활동을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진도 토요민속여행 조도닻배노래 공연

진도 토요민속여행 조도닻배노래 공연

내일(토요일) 2021년 4월 10일 오후 2시, 진도향토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 신명나는 우리가락 한마당! 제887회 진도토요민속여행 상설공연(주제: 삶 그리고 恨)에 펼쳐집니다.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전체 좌석 603석중 300석 제한 운영중이며 마스크를 꼭 착용하시기 바라며 공연장 입구 출입자 명부 작성, 열화상카메라 발열체크 등 방역수칙 준수를 부탁드립니다.

진도 토요민속여행 상설공연은 매년 3월 ~ 12월(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4종(강강술래 · 남도들노래 · 씻김굿 · 다시래기)과 도지정무형문화재 5종(진도북놀이 · 진도만가 · 남도잡가 · 소포걸군농악 · 조도닻배노래)을 비롯하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진도아리랑등 남도소리를 체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도닻배노래보존회장 故 김연호, 故 박진옥님, 현재 박정인 3대 회장님을 비롯한 조도닻배노래회원들중 실제 닻배를 타고 조기잡이를 하였던 회원들이 계셔 선조들의 어로 과정을 담아내고 후손들에게 전승하기 위해 노익장을 과시하며 오는 2021년 4월 10일 진도 향토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제887회 진도 토요민속여행 공연에 참가 합니다.

지난 2006년 7월 27일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로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지정되어 매년 무형문화재발표회, 토요민속여행, 신비의 바닷길축제, 명랑대첩축제, 목포해양축제 등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지역 문화재를 널리 알리고 보존 전승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조도닻배노래는 조도일원의 어민들이 칠산어장, 안마도 어장에 출조하여, 거친풍파와 싸우며, 두달여간의 조기잡이를 하던 과정과 삶의 희노애락이 담긴,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 선조들의 어로생활을 간접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고 조기잡이와 관련된 서남해안의 대표적 어요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조도닻배노래는, 풍선에서 닻망, 정선망으로 지금은 중선에서 투망, 안강망등 기계화되어 신속한 어로작업으로 인하여 닻배와 그물의 원형을 볼 수 없지만 서남해안 도서지역 옛 선조들의 대표적인 어법으로 조기잡이소리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조도닻배노래의 경우 풍선에서 돛을 달고 내리고, 닻그물을 내리고 올리는 과정, 특히 배가 떠나기 전 그물을 싣거나, 갯펄이 많은 해안에서 노젓으면서 이동하거나 배에서 그물을 내리면서, 그리고 어장에서 그물을 당기며 부른다는 닻배소리, 술비소리, 풍장소리는 사라진 닻배 어로의 작업 과정을 고스란이 담아내고 있다.

이번 조도닻배노래 공연 내용은 그물 싣고 어장으로 나가는 과정, 그물 놓고 선원들의 무사를 기원하며 만선을 바라는 고사 과정, 조기잡이 풍어 그물 올리는 과정, 만선하여 파시에 고기 파는 과정, 고향에 무사히 돌아와 부모형제들과 기쁨을 나누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 무형문화재 공개 발표회

2020 무형문화재 “조도닻배노래 “공개 발표회

조도닻배노래는 어업노동요로 2006년 7월 27일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지정 단체로 되었으며 선조들이 거친 풍랑과 싸우며 술비(조기)잡이를 하던 과정(출조, 고사, 조업, 귀향)으로 희로애락이 담겨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보존 전승되고 있다.

과거 조기잡이는 제주도 부터 황해도에 이르기까지 서해안 전역에서 이루어지던 주된 어업으로 닻배라고 칭하는 배를 타고 수심이 얕은 근해에서 조업하는데 전국에서 조기잡이배를 타기 위해 전국 항포구에선 “조도 갈 이” 외침으로 떠들석 했다고 한다.

과거 조기잡이 어장이 시작되는 조도연안에는 수백척의 닻배가 몰려 용왕님께 제사를 지내고 만선으로 돌아올때 제사를 지내는 당이 존재하며 조도닻배노래의 시초인 닻배소리가 성행했던 이유는 어장을 나오고 들때 어선을 수리하는 선소가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전해져오고 있다.

닻그물은 정선망(碇船網) 또는 정망(碇網)이며, 그물에 수백 켤레의 나무 닻을 채운 모양의 기다란 장막처럼 생긴 자망(刺網)을 해저 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닻으로 고정시켜 그곳을 통과하는 조기잡이 하던 무동력 배로 닻배라 칭하였다.

조도닻배노래는 공연 순서에 따라, ‘그물 싣는 소리’, ‘노 젓는 소리’, ‘풍장소리’, ‘그물 내리는 소리’, ‘풍어를 비는 고사’, ‘그물 올리는 소리’, ‘만선풍장소리’,‘뒤풀이’로 닻배를 이용한 조기잡이 어로 작업은 사라졌지만 지역민들에 의해 전승되어 오고 있다.

닻배소리는 선후창 등의 가창방식으로 박자 구조는 곡에 따라 다양한데, 여느 어업노동요와 같이 3소박 4박자나 3소박(3분박) 2박자를 주로 사용하나, 그물을 올리거나 내릴 때 부르는 <술비소리>는 3소박 6박자의 독특한 박자 구조를 갖는다.

매년 지역 행사에서 문화재 공개 발표회를 갖고 있으나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2단계 지침에 맞춰서 2020 무형문화재 공개 발표회를 추진하였고 최근 1단계로 하향되어 실내50인, 실외100인 행사가 해제되어 공개 할수 있지만 당초 계획한 한정된 인원만 초청하여 발표회를 진행하게 됩니다.

❏ 발표회 장소 및 일시

– 곤우 선창 해상 : 2020년 10월 18일 10시

❏ 출연자 및 참석 예상 인원

– 출연자(조도닻배노래회원) : 20명

– 전라남도 문화재 위원 및 촬영 : 10명

– 관객 및 외부 방문 인원 : 20명

토요민속여행 조도닻배노래 공연

 지난 2006년 7월 27일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로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지정되어 매년 무형문화재발표회, 토요민속여행, 신비의 바닷길축제, 명랑대첩축제, 목포해양축제 등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지역 문화재를 널리 알리고 보존 전승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진도 토요민속여행 상설공연은 매년 3월 ~ 12월(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4종(강강술래 · 남도들노래 · 씻김굿 · 다시래기)과 도지정무형문화재 5종(진도북놀이 · 진도만가 · 남도잡가 · 소포걸군농악 · 조도닻배노래)을 비롯하여 진도아리랑등 남도소리를 체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도닻배노래보존회장 故 김연호, 故 박진옥님, 현재 박정인 3대 회장님을 비롯한 회원들중 실제 닻배를 타고 조기잡이를 하였던 회원들이 계셔 선조들의 어로 과정을 담아내고 후손들에게 전승하기 위해 노익장을 과시하며 오는 2018년 11월 17일 진도 향토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제811회 진도 토요민속여행 공연에 참가한다.

조도닻배노래는 조도일원의 어민들이 칠산어장, 안마도 어장에 출조하여, 거친풍파와 싸우며, 두달여간의 조기잡이를 하던 과정과 삶의 희노애락이 담긴,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 선조들의 어로생활을 간접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고 조기잡이와 관련된 서남해안의 대표적 어요로 전승 보존되고 있다.

조도닻배노래는, 풍선에서 닻망, 정선망으로 지금은 중선에서 투망, 안강망등 기계화되어 신속한 어로작업으로 인하여 닻배와 그물의 원형을 볼 수 없지만 서남해안 도서지역 옛 선조들의 대표적인 어법으로 조기잡이소리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조도닻배노래의 경우 풍선에서 돛을 달고 내리고, 닻그물을 내리고 올리는 과정, 특히 배가 떠나기 전 그물을 싣거나, 갯펄이 많은 해안에서 노젓으면서 이동하거나 배에서 그물을 내리면서, 그리고 어장에서 그물을 당기며 부른다는 닻배소리, 술비소리, 풍장소리는 사라진 닻배 어로의 작업 과정을 고스란이 담아내고 있다.

이번 조도닻배노래 공연 내용은 그물 싣고 어장으로 나가는 과정, 그물 놓고 선원들의 무사를 기원하며 만선을 바라는 고사 과정, 조기잡이 풍어 그물 올리는 과정, 만선하여 파시에 고기 파는 과정, 고향에 무사히 돌아와 부모형제들과 기쁨을 나누는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을 사랑한 소리꾼 잠들다.

20151216_bakjinok_old

오늘 오전 타계하신 故 박진옥 선생께서는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의 본 고장인 조도에서 1942년 태어나 지금껏 고향을 한번도 떠나서 산적이 없는 순수한 토박이 소리꾼이였습니다.

故人께서는 1968년부터 지역 전통소리(조도만가) 소리에 관심이 많아 녹음기, 비디오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면서 녹음,동영상 촬영을 비롯하여 국악기(장구, 북)등 다루는 것을 좋아하여 사물놀이, 조도농악, 조도만가등 다양한 소리와 장단 경험을 해왔으며, 특히 북을 잘 다루어 북고수이면서 조도닻배노래보존회장을 10년간 역임하면서 열성적으로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청년시절 투망배를 타면서 닻배소리를 듣고 무형문화재 지정 전부터 故 김연호 선생과 함께 여러지역에서 만가소리를 비롯한 국악공연 활동하였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보유단체 제40호 2006년7월27일)로 지정 후 본격적으로 故 김연호(조도닻배노래 보유자 2006년12월27일)씨와 함께 2008년 조도닻배노래보존회장으로 전승관이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면복지회관이나 공터에서 연습하고 보존회원들을 이끌고 매년 자체발표회와 각종 공연에 빠짐없이 참석하였습니다.

또한, 면소재지에서 조도농악대를 구성하여 조도농악을 이끌어 왔으며, 조도닻배노래가 무형문화재로 지정이후 조도닻배노래 회원으로 모든 공연과 전수활동 등에 적극참여하며 오늘날까지도 우리고장의 유일한 무형문화재인 조도닻배노래를 보존전승하기 위해 조도닻배노래보존회원들과 함께 보존전승노력을 하는 한편, 진도문화원 이사님으로 지역문화에 관심과 애정을 갖고 있었습니다.

2008년부터 조도닻배노래 보유자가 없었지만 보존회원들이 신뢰하여 구심점이었던 분이 오늘 타계하였지만 지역문화재가 사장되지 않고 널리 후손들에게 전승 될 수 있도록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우리지역 유일의 조도닻배노래가 길이 빛날 수 있도록 조도닻배노래회원으로서 故人께 우리지역 문화재 보존전승하는데 부단히 노력하겠다고 약속드립니다.

조도닻배노래보존회원으로서 함께한 시간을 떠올려 보며 마지막 이승에서 삼가 인사 올립니다.

조도닻배노래 CD음반 제작

jodo_datbae_song_CD

국립남도국악원 남도무형문화예술 발굴시리즈 5탄으로 < 조도닻배노래> CD음반이 제작되어 알려드립니다.

지난 2006년7월27일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40호로 조도닻배노래보존회가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보유단체로 지정된 후 10년만에 국립남도국악원에서 남도무형문화예술 발굴사업의 일환으로 조도닻배노래 [진도 조도지역 배노래 음원 및 해설집]을 수록하여 CD음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음반제작은 조도닻배노래보존회원 1세대들 70,80세로 연로하였지만 닻배소리의 원형을 간직한 세대로서 우리지역 닻배소리 원형을 후손들에게 국가기록물로서 올바로 전달 할 수 있게 되었다는데 큰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1950년대 실제 닻배를 타고 조업하며 닻배노래를 부르고 체험했던 설정주, 박정인, 박진옥 어르신등의 소리와, 이들의 소리를 전승하여 명맥을 이어가는 20여명의 보존회원들의 그동안 노력의 부산물들을 함께 담아‘조도닻배노래’에 관한 이야기를 지난 4월30일 남도국악원에서 채록하게 된것입니다.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은 지리적으로 조기잡이 소리가 전승되는 해역의 최남단이자 시작점이기도 한 곳으로서, 조도의 닻배노래에는 전라남도 지역 고유의 음악적 특징뿐 아니라 서해 일대에 널리 분포하는 조기잡이소리의 보편적 특징도 함께 담겨있습니다.

조도닻배노래 음반에는 진도군 조도(鳥島)면 일원의 어민들이 조기잡이를 나서고 돌아오는 순서에 따라 모두 10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우리지역 소마도의 조기잡이소리가 부록으로 함께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번 음반제작에 앞서 남도국악원에서 지난 2007년 진도무형문화예술시리즈 5탄 진도만가 CD음반으로 조도면 창유리 전승만가 집하직소리(긴소리), 거리서 노는 소리(어널이 넘차 소리), 다리천, 동네 하직소리, 중염불등 수록되어 CD음반이 제작된바 있어 다시 한번 우리지역 소리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데 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조도닻배노래 보존회가 ‘닻배노래’ 보유자가 없이 10년간의 전승보존 노력의 보상이라도 받는 것처럼 음반으로 제작되어 그나마 다행이나 70,80세 연로하시분들이 언제까지 힘을 낼수 있을지 무형문화재에 대한 젊은 인재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계기을 마련하였음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끝으로 지난 4월30일 조도닻배노래가 국가기록물로 등재된것을 비롯하여 음반제작에 신경을 써주신 국립남도국악원 원장님과 열성적으로 제작을 추진 해 주신 송상혁님을 비롯한 장악과 직원여러분께 지면을 통해 조도닻배노래 보존회원의 한사람으로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국립남도국악원 4월30일 채록된 동영상( http://www.koreaisland.com/?p=1470 )을 공개하면서 우리지역 유일의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40호 “조도닻배노래” 보유자 지정이 하루 속히 이루워 질수 있도록 지역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바랍니다.

전남도, 무형문화재 전승 의지 꺽어

20130423

전남도 문화재 전승 의지 부재와 관리기관인 진도군 문화재관리 책임의식 부재 심각하다.

최근 전라남도가 숨겨진 문화재를 찾고 가꿔 품격을 높이고 미래세대에 올바르게 전승하기 위해 ‘문화재 품격 높이기 운동’을 전개하고 나서는 가운데 기존 문화재에 대한 관리부재와 관리기관의 무관심으로 인해 사장되게하고 있다는 지역민들 서명서를 첨부한 민원을 접하고도 1년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전남도가 새문화재 찾기위해 노력으로 발굴조사 등을 통해 확인된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및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으나 기존 지정 된 각종 문화재에 대한 지원이 뒤따라 가지 못하고 있거나 소홀하다는 것이다.

우리지역에선 지난 2006년 토속문화재인 조도닻배노래가 도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그동안 지역민들의 노력과 다르게 무심한 문화재 담당자들 때문에 사장되고 있는 지정문화재를 보고 있노라면 ‘밑빠진독에 물붓기’라는 옛속담이 떠오르게 된다.

우리지역 유일 무형문화재(전남도지정 제40호 조도닻배노래)의 경우 토속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06년 지정되었으나 무형문화재 특성상 전승노력에 대한 지원없이는 해가 넘어 갈수록 문화재가 명맥을 이어나가기 벅차서 후손들에게 제대로 전승 시킬수 있을지 대책이 절실하다는 민원을 접하고도 담당자들이 복지부동하고 있다는데 문제가 심각하다.

조도닻배노래의 경우 조도닻배노래회원이 나서서 지역문화재를 지키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석인 보유자를 재지정 해달라는 민원에 대하여  책임자들에겐 토속문화재가 하찮은 것에 불과한것인지 그들에 관심에서는 저멀리 멀어져 있다.

조도닻배노래보존회에서는 문화재 지정이후 만3년이 지나지 않은 2009년 지병으로 인하여 보유자 였던 김연호씨가 故人이 되어 전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지역에서 유일한 무형문화재인 조도닻배노래를 보존·전승하기 위해 조도닻배노래 보존회원들과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바 보유자가 없어 활동하는데 이런저런 제약이 따르고 있음을 관계자들도 알고 있으면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1년전인 작년 6월 진도군을 통해 전라남도로 보유자 재지정 해달라는 공문을 올렸으나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어 지금까지 진도군 문화재 담당자를 통해 몇 번의 요청을 올렸으나 지금까지 주민과의 소통 없이 지난 1년간 사장되고 있는 첨부된 공문(조도닻배노래보존회-20120619)은 어디에서도 처리되지 못하고 공중부양중이다.

어려운 여건에서 7,80세 노인들이 지역 토속문화재인 조도닻배노래를 지키려는 노력에 비하여 담당자들의 아니한 생각과 태도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없으며, 이러한 토속문화재가 사장되지 않고 널리 후손들에게 전승 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작금의 실태를 바로 봐주길 바랄뿐이다.

이런 어려운 여건에서도 조도닻배노래보존회원들이 이번 진도 신비의바닷길 행사에서 조도닻배노래 공연과 관광객들과 함께하는 닻배노래체험행사(2013.4.27 12:00~16:00)를 회동 공연장 해상에서 닻배를 띄어 활동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