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섬 “12월, 관매도” 선정

한국섬진흥원(KIDI)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있는 관매도를 ‘12월, 이달의 섬’으로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관매도는 진도 팽목항에서 서남쪽 24㎞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약200명의 섬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관매 8경’을 가질 만큼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간조시 2킬로미터 폭100여미터가 들어나는 넓은 관매해수욕장과 방풍림으로 조성된 울창한 송림은 한국의 아름다운숲으로 선정 된 곳으로 ‘천연기념물 제212호’로 지정 된 후박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관매해수욕장 백사장 뒤로는 300년 이상 된 소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져 있고 주변으로 방아섬, 독립문바위, 다리여, 하늘다리, 벼락바위, 꽁돌 등 기암괴석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 잡는다.

관매도는 ‘쑥’과 ‘톳’이 생산되는데 ‘관매톳’은 신선하고 독특한 풍미를 가진 건강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으며, 청정 바다에서 자라나 관매도를 찾는 이들에게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또한 ‘관매쑥’은 향이 진하고 품질이 우수해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되고 쑥으로 만든 막걸리는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관매도는 조선 후기 자료 ‘호구총수’ 등에 따르면 ‘볼매도’(乶邁島)로 기록 돼 이름을 두고 첫번째 설은 새가 입에 먹이를 물고 잠깐 쉬어간다는 뜻으로 불리 우는데 ‘볼매’ 한자인 ‘볼 관’(觀)과 ‘매화나무 매’(梅)로 바꿔 관매도가 됐다는 설은 한 선비가 넓은 모래사장과 매화꽃이 어우러진 풍경에 반해 ‘매화를 보는 섬’(관매도, 觀梅島)라 명명했다는 것이다.

한국섬진흥원 관계자는 “관매도는 위치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섬 중 하나이지만 언제든 한 번 방문하면 그 매력에 빠질 수밖에 없는 섬”이라며 “이번 선정을 계기로 많은 분들이 관매도를 찾아 섬이 간직한 매력과 가치를 알아주 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섬진흥원의 도(島)란도란 ‘이달의 섬’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제2회 한국 공공브랜드 대상’ 관광 브랜드 부문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EBS 한국기행 남도 섬 여행길

EBS1_201603220930

남도 섬사람들은 바다의 시간에 맞춰 사는 사람들, 외롭지만 그 외로움마저 품고 사는 사람들. 한반도의 남쪽 바다에는 두런두런 소박한 이야기, EBS1 한국기행 “봄길 따라 남도 섬을 가다.”편이 3월21일(월)부터 3월25일(금)까지 방영됩니다.

이번 한국기행은 전라남도 완도와 진도의 섬들을 찾아간다. 매생이의 섬이라 알려진 넙도, 초완도부터 이름도 아름다운 청산도,국악 청년들과 함께 만나는 조도군도를 거쳐 옥빛 바다 건너 외딴섬 여서도까지 봄을 맞이하는 각양각색 남도의 풍경과 사람들의 이야기는 물론,우리 가락의 흥겨운 멋이 어우러지는 섬 여행길이다.

1부. 청산이 좋아 청산에 사노라네 / 3월 21일(월) 저녁 9시30분
청산도에 봄이 찾아오면 가장 먼저 청보리밭이 기지개를 켠다.지게 진 할아버지며 소쿠리에 호미 하나 챙겨든 할머니까지.물이 귀해 도랑물 한 섬이 나락 한 섬이라 했던 곳.청산도의 풍요로운 구들장 논은 그렇게 탄생됐다.

2부. 섬이 부르는 사랑 노래 – 조도 / 3월 22일(화) 저녁 9시30분
조도의 바다에서 한평생 그물 올리며 살아온 박정인 할아버지를 따라 바다에 나선 두 사람,서대, 간재미, 그리고 바다의 왕자라는 감성돔까지 만나 즐겁기만 한데…뜻밖의 횡재를 맞은 박정인 할아버지는 숭덩숭덩 간자미 회 썰어와 노래와 함께 내민다.일렁이는 노을마저 장단 같은 곳, 진도의 노래는 그렇게 오늘도 바다 너머로 번져간다.

3부. 바다, 삶을 노래하다 – 조도 / 3월 23일(수) 저녁 9시30분
마실 나온 할머니들의 굽은 허리춤만한 돌담길이 고즈넉하게 벗으로 따라오는 곳. 두 청년이 여미리 토박이인 고소금 할머니 네로 간다.
갓 잡아온 도다리에 직접 뜯은 쑥을 넣어 끓여낸 도다리쑥국엔 할머니의 사랑이 듬뿍 담겨있다.
외할머니를 만난 듯, 여정을 멈추고 들어보는 할머니의 노랫가락.

4부. 바람의 섬, 여서도 / 3월 24일(목) 저녁 9시30분
오늘도 동이 트기도 전에 바다로 나서는 김세환 씨. 20여 년 만에 귀촌한 세환 씨는 물때가 안 맞아도 매일같이 바다에 나선다.
다시 돌아온 고향, 바다만큼 마음 편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풍랑이 조금만 불어도 목숨 내맡기는 바다였다는 여서도.꿋꿋하고 치열하게 섬을 지켜내는 이들, 그 삶이 곧 한 줄기 바람이어라.

5부. 매생이 바다의 달디 단 봄맞이 / 3월 25일(금) 저녁 9시30분
넙도리 오보선 이장은 초완도로 우편 배달에 나선다. 그렇게 찾은 곳은 천생 바다 농사꾼 신동석 할아버지네.할아버지의 바다 농장에는 막바지 매생이 수확이 한창이다.
종일 허리 굽혀 매생이를 채취하고도 늦은 밤까지 재기를 만드는 신동석, 선덕순 부부.이 섬의 바다가 풍성한 이유는 매생이 뿐만 아니라 언제나 봄 같은 마음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산삼은 조도겨울무로 통한다.

20130303muoo

겨울철에 산삼은 조도겨울무로 통한다.

조도는 154개 다도해 섬이지만 반농반어의 생활을 하는 가운데 주로 동절기 막바지 들녁 농사는 겨울무, 봄동,쑥농사가 50% 를 이룬다.

특히, 조도겨울무는 동삼으로도 불리우며, 타지역에 비해 해안가에서 자라기 때문에 해풍을 맞고 자라 당도나 아삭거리는 맛이 일품이다.

겨울철에 출하되는 조도 무는 농약을 전혀 쓰지 않고 친환경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가락시장을 비롯한 대도시 시장에서 진도조도겨울무, 무말랭이, 시래기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